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여파로 학원에 휴원 권고를 내리기로 하면서 학부모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아이를 보낼 곳이 없어 걱정하는 학부모가 있는가 하면 위험성을 고려해 잘한 조치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결과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전국 유·초·중·고 학교의 1주일 개학 연기 방침과 함께 학원에도 휴원을 권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 부총리는 “교육부는 교육청과 함께 학원 휴원과 학생 등원 중지, 감염 위험 등에 대한 업무배제를 권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현행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교육부장관 또는 교육감은 감염병 발생 등을 이유로 학교에 휴업 또는 휴교를 명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원에는 이같은 ‘명령’ 권한이 없어 권고 조치를 내렸다는 게 교육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또한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학원 운영자가 감염병에 걸리거나 의심되는 학생 또는 강사를 격리시킬 수 있지만 이 또한 강제는 아닙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원은 민간 성격이 강하다”면서 “일반 학교처럼 휴원을 강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19 감염자가 폭증하는 만큼 학원들도 휴원 권고 조치를 받아 들일 거라는게 교육부의 생각입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선제적으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권고를 내리는 만큼 학원장들도 휴원 조치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유 부총리도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학원과 PC방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 시설을 자제시켜달라”며 관심을 당부했습니다.
하지만 학원들이 실제 휴원에 들어갈 경우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는 학부모들의 걱정도 큽니다.
일산 지역에서 자녀를 피아노 학원에 보내는 한 학부모는 “오후 시간 아이를 보낼 곳이 없어 걱정”이라며 “학교도 개학을 연기한다는데 아이들을 제대로 돌볼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프리서치,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